보도자료

공지사항 보도자료

서이초 교사 순직 2주기 추모 및 교권 실태 교원 설문조사 결과 발표

작성자대전교총

  • 등록일 25-07-17
  • 조회7회

본문

선생님을 잊지 않겠습니다

교권 10명 중 8교권5법 개정 효과 부족’ 

교권보호법 미흡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여전인식·실천 변화 부족

정서학대 모호성 해소 아동복지법 개정무고성 신고자 처벌 추가 필요 

교총전국 유‧초‧중‧고 교원 4,104명 설문조사 -

올 1학기 교권 침해 경험 있지만 참았다 46.2%’

■ 주요 설문조사 결과

 △ 교권 침해 당해도 참는 이유 오히려 아동학대 신고·민원 우려

 △ 수업 방해·교권 침해 학생 분리 조치 실시 24.4%에 불과

 △ 분리 초지 못하는 이유 반발 및 민원 우려

 △ 교원 아동학대 신고시 교육감 의견 제출 제도 평가 긍정적 22.5%, 부정적 77.6%

 △ 학교 민원 대응 시스템 효과성 긍정적 12.1%, 부정적 87.9%

 △ 민원·상담창구 일원화 및 교원 개인 연락처 비공개 91.1% 찬성

 △ 교원 아동학대 신고시 교육감 의견 제출 제도 평가 긍정적 22.5%, 부정적 77.6%

 △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남발 방지 과제 1위 모호한 정서학대 범위 명확화 아동복지법 개정

 △ 체험학습 유지 과제 교원 면책 요건 명확화과도한 업무 부담 완화 및 교육청 지원 강화

 △ 체험학습 전면 폐지(34%). 안전대책 마련시까지 중단(23%) 부담 여전

 체험학습 학생 음료수 뚜껑 안 따줬다 민원체험학습 후 중학생 혼자 대중교통 이용해본 적없으니 집까지 데려다 달라다른 학생 도시락 너무 예쁘게 싸오면 비교당해 속상하니 다른 아이들 미리 지도해달라

 

 1.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회장 강주호)는 7월 18서이초 교사 순직 2주기를 맞아서이초 선생님을 비롯해 교육에 헌신하다 유명을 달리하신 선생님을 전국 50만 교육자와 함께 깊이 애도하고 추모한다고 밝혔으며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유가족분들께도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했다

 

2. 교총은 서이초 교사 순직 사건은 과거가 아니며 현재와 미래에 맞닿아 있다며 심각한 교실 붕괴교권 추락의 현실을 사회에 알리고권리만 내세우고 의무와 책임을 소홀히 하는 학교 문화의 심각성을 일깨우고 교권5법 개정에 기여했다의미를 밝혔다

 

3. 이어 그러나 이후에도 인천 특수교사와 제주 교사 사망 사건이 발생하고하루에 2회꼴로 교원 대상 아동학대 신고지난해만 518건의 상해 폭행 등 3,925건의 교권침해사건이 발생했다며 인권 친화적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학생뿐만 아니라 교원의 인권과 교권도 당연히 보장돼야 좋은 교육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4. 교총은 서이초 교사 순직 2주기를 맞아 전국 유···고 교원 및 전문직 4,1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서이초 2주기 교권 실태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이에 따르면 교권5법 개정 이후에도 현장 교원 10명 중 8(79.3%)은 교육활동 보호에 긍정적인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대해 교총은 이러한 결과는 지난해 5월 스승의 날 기념 교원 인식조사 설문조사 동일 문항 조사(73.4%)보다 오히려 5.9%P 악화한 수치다라며 제도 개선의 효과성이 부족하고 현장에 안착하지 못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라고 밝혔다

 

5. 이처럼 긍정적 변화가 없는 가장 큰 이유로 교원들은아동복지법교원지위법학교안전법 등 관련 법령 개정 미흡(61.7%)’을 꼽았고,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고소에 대한 불안감 여전(45.1%)’이 뒤를 이었다또한 비록 제도는 개선되었지만학생·학부모의 인식과 실천의 변화 부족도 원인으로 지적했다실제 서이초 교사 순직 이후 학생 및 학부모에 의한 교권 침해 사안이 일시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가 이를 방증하고 있다.

 

6. 2025년 상반기(3.1~7.10.)에만 응답 교원의 절반에 가까운 교원이 교권 침해를 당한 경험이 있다(48.3%)’고 응답했지만신고까지 이어진 경우는 4.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신고하지 않는 이유로는 신고를 하면 오히려 아동학대 신고나 민원 발생이 우려돼서(70.0%)’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신고해도 지역교권보호위 처분 효과가 기대 안 되어서(51.4%)’,‘하루에도 몇 번씩 (교권 침해사안이 발생하는데 그때마다 신고할 수도 없어서(50.2%)’가 뒤를 이었다이에 대해 교총은 교권 침해 신고를 하면 이를 빌미 삼은 아동학대 신고나 민원 등 보복의 두려움시스템에 대한 불신교권 침해의 일상화라는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분석했다.

 

7. 교원 보호를 위해 도입된 각종 제도 정작 학교 현장에서는 불신과 무용론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수업 방해/교권 침해 학생을 분리할 법적 권한이 생겼지만실제로 분리 조치를 해 본 교원은 24.4%에 불과했고, 42.6%는 분리를 원했지만 실행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그 이유로는학생·학부모의 반발 및 민원(아동학대 신고 등우려(67.7%)’가 가장 컸으며, ‘분리 조치를 위한 공간·인력·프로그램 부재(32.7%)’라는 현실적 한계도 지적됐다

 

8. 2023년 9월부터 아동학대 신고 시 교육감이 정당한 생활지도 여부에 대한 의견을 제출하고 조사·수사기관이 참고하도록 하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응답 교원의 77.6%는 이 제도가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를 막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이에 대해 교총은“ 해당 제도 시행 이후에 비록 신고 건수는 줄었지만여전히 하루에 2회꼴로 교원 대상 아동학대 신고가 계속되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무혐의무죄가 나와도 무고성 아동 신고 남발자에 대한 처벌이 현실적으로 어렵고신고만 되면 짧게는 몇 달길게는 몇 년을 고생해 교육에 전념할 수 없는 현실이 가장 큰 문제다라고 밝혔다

 

9. 현행 학교 민원 대응 시스템이 악성 민원을 걸러내고 교원을 보호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는 응답 또한 87.9%('그렇지 않다' 44.4%, '전혀 그렇지 않다' 43.5%)에 달했다이를 개선하기 위해민원창구를 학교 대표전화나 온라인 민원 대응 시스템 등으로 일원화하고 교원 개인 연락처를 비공개하는 방안에 91.1%('매우 찬성' 70.2%, '찬성' 20.9%)가 압도적으로 찬성했다교원들이 생각하는 가장 효율적인 민원 대응 시스템은 교육청 단위의 통합 민원대응팀 및 법률지원 강화(27.5%)’와 민원 대응을 전담하는 별도 전문 인력(학교 배치(22.5%)’를 꼽아개별 학교가 아닌 상급 기관의 책임 있는 역할을 요구하는 한편단위 학교에서 소화할 수밖에 없는 민원에 대해서는 별도의 전문인력이 배치되어 처리하는 방안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형사책임 등 교원의 과도한 책임 부담에 따라 현장체험학습은 중단(전면 폐지 34.4%, 안전 대책 마련할 때까지 중단되어야 한다(23.3%)’는 의견이 57.7%로 나타났다현행 유지를 지지하는 교원은 7.4%에 불과했다이는교원이 예방 및 안전조치 의무를 다한 경우 학교 안전사고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면제하도록 개정된 학교안전법이 실제로는 교사를 보호해주지 못할 것이라는 인식 때문으로 분석된다.

 

11. 현장체험학습 과정에서 체험학습 중 학생의 음료수 뚜껑 왜 안 따줬냐”, “체험학습 후 중학생 혼자 대중교통 이용해본 적 없으니 집까지 데려다 달라”, “다른 학생 도시락 너무 예쁘게 싸 오면 비교당해 속상하니 다른 아이들 미리 지도해달라” “체험학습 당일 아이가 늦잠 자니 깨워달라” 등의 민원까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12. 최근 울산 고교에서 학생에게 성추행 피해를 입은 여교사가 오히려 공무상 병가나 연가가 쓰며 가해 학생을 피해 다니는 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이처럼 교권 침해 피해 교사가 오히려 가해 학생을 피해 다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해·폭행·성폭력 등 중대 교권 침해 발생 시 피해 교사가 희망할 경우 학교폭예방법과 같이 학교장의 긴급조치로 가해 학생을 분리 조치하도록 교원지위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교원의 98.9%가 동의했다

 

13.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 남발과 오용을 막는 방안을 묻는 질문에 모호하고 포괄적인 정서학대의 개념 명확화를 위한 아동복지법 개정이 5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이어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남발자 처벌(54.8%)’,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를 교육활동 침해 행위로 인정(45.5%)’ 순으로 응답했다

 

14. 교총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무너지는 교실의 단면을 그대로 보여주는 결과이자, 20년에 걸쳐 진행된 교직 전문성 붕괴교권 추락의 참담한 성적표다고 평가하였다실제 올해 6월 한국교총 한국교육정책연구소가 발간한 교직문화에 관한 조사연구에 따르면 2004년과 2024년 시계열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2004년 교사들은 교직의 가장 큰 장점으로 전문성(41.4%)’을 꼽았지만, 2024년에는 안정성(42.2%)’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교사의 가장 큰 스트레스 원인 역시 과도한 업무(29.7%)’에서 학생·학부모와의 갈등(39.8%)’으로 바뀌었다교사로서 무력감을 느끼는 경우도 2004년 교육의 가치 격하(52.1%)에서 학생·학부모의 비협조적 태도와 불신(50.1%)’으로 바뀌었고학생인권 조례 제정 이후 교권 추락과 생활지도의 어려움이 심화되었다는 응답도 91.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15. 강주호 한국교총 회장은 서이초 교사의 비극 이후 2년이 지났지만교실은 더 위험해졌고 선생님들의 눈물은 마르지 않고 있다라며, “정부와 국회는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교단 현실을 정확히 인식해 아동복지법·교원지위법·아동학대처벌법·학교안전법 등 교권 관련 법령의 조속한 개정과 현장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6. 강 회장은교직 만족도 수치 최하점, 2025학년도 교대 입시 결과 수시모집 7등급정시모집 4등급 중반대까지 하락교원 명퇴자 급증, MZ교사 상당수 이직 고민 등 교육·교단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며 서이초 교사 순직 2주기를 맞아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와 교총의 제안을 정부와 정치권이 신속히 수용하기를 바란다고 요구했다

 

 

별 첨 서이초 교사 순직 2주기 교권 실태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 1.

 
주소 :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서로 23 (3층) ㅣ 사업자등록번호: 305-82-20154 ㅣ (우 : 34865)Tel : 042.638.6166-6168 ㅣ Fax : 042.638.6169 l E-mail : dfta@kfta.or.kr
Copyright ⓒ 대전광역시교원단체총연합회 All rights reserved.
관리자로그인 make24 바로가기